요즘 시장에서 자꾸 느껴지는 질문이 있습니다.
“이제 국내 소비는 한계 아닌가?”
그럴 땐 시선을 밖으로 돌릴 필요가 있습니다. 바로 ‘수출’입니다.
2025년 7월 8일,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‘KoAct K수출핵심기업TOP30 액티브 ETF(0074K0)’를 신규 상장했습니다.
이 ETF는 단순히 ‘수출을 많이 한 기업’이 아니라, ‘앞으로 수출이 더 늘어날 기업’까지 미리 담는 전략형 액티브 ETF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이 ETF의 기본 구조와 전략, 첫 편입 종목까지 핵심만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.
🧭 이 ETF, 뭐가 다른가요?
KoAct K수출핵심기업TOP30 액티브 ETF는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입증했거나,
글로벌 확장 가능성이 높은 국내 기업 30곳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입니다.
✅ 핵심 구조
항목 | 내용 |
---|---|
ETF명 | KoAct K수출핵심기업TOP30 액티브 |
티커 | 0074K0 |
운용사 | 삼성액티브자산운용 |
상품유형 | 액티브 ETF (주식형) |
총보수 | 0.50% (운용보수 0.45%) |
비교지수 | KEDI K수출핵심기업 TOP30 지수 |
정기 리밸런싱 | 연 4회 (1·4·7·10월) |
연금 편입 | 개인연금 100%, 퇴직연금 70% 가능 |
이 ETF는 이름처럼 ‘액티브’하게 운용됩니다.
단순히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, 월별 수출입 데이터, 글로벌 트렌드 지표, 리서치 분석을 기반으로 종목을 선별합니다.
💡 수출 성장 기업과 수출 유망 기업, 둘 다 담는다
KoAct ETF는 아래 2가지 분류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.
분류 | 설명 | 포트폴리오 비중 |
---|---|---|
수출 성장 기업 | 이미 해외 매출이 증가세에 있고, 수출 실적이 입증된 기업 | 70% |
수출 유망 기업 | 향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브랜드·콘텐츠·IP 중심 기업 | 30% |
즉, 과거 실적과 미래 트렌드 둘 다 놓치지 않는 구조입니다.
🔍 비교지수: KEDI K수출핵심기업 TOP30 지수란?
ETF의 비교 기준이 되는 KEDI 지수는 다음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.
-
유가증권·코스닥 상장 기업 중
-
시가총액 3,000억원 이상
-
일평균 거래대금 10억원 이상
-
최근 12개월 수출액 $10M 이상
-
KICS 산업분류 기준: 화학, 전자, 식품, 운송장비, 콘텐츠, 유통 등 포함
즉, 실질적인 ‘수출 드라이브’를 갖춘 종목만 들어갑니다.
🔝 주요 편입 종목 미리보기
KoAct K수출핵심기업TOP30 ETF는 첫 상장 시점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종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종목 | 특징 |
---|---|
이수스페셜티케미컬 | 반도체 소재 및 글로벌 공급망 확장 |
셀트리온 | 유럽 및 미국 바이오의약품 수출 확대 |
현대로템 | K-방산 대표주자, 해외 수주 지속 |
실리콘투 | K-뷰티 온라인 수출 플랫폼 기업 |
대웅제약 | 보툴리눔 톡신 등 미용/의료 글로벌 확장 |
한화에어로스페이스 | 항공기 부품 및 방산 장비 수출 강자 |
📌 요약하면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
-
국내 내수보다 글로벌 확장에 베팅하고 싶은 투자자
-
수출 기반으로 종목을 선별하는 정량적 ETF를 찾는 분
-
K-방산, K-뷰티, K-푸드, K-컬처 등 글로벌 테마에 관심 있는 분
-
연금계좌에서 활용 가능한 ETF를 찾는 분
✨ 마무리 한 줄
“정체된 내수보다, 확장되는 수출이 답이다”
KoAct K수출핵심기업TOP30 액티브 ETF는
한국의 미래를 이끄는 ‘글로벌 주도 기업’에 미리 투자하는 방법입니다.
📌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이며,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곧이어 시리즈 2편,
“글로벌 트렌드를 데이터로 읽다 – KoAct ETF 종목 선정 방식 집중 해부”
도 이어서 작성해 드릴게요!
진행 원하시면 바로 들어갑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