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하반기 ETF 시장에 혁신적인 상품이 등장하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특히 옵션 매매를 활용해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듀얼 방향 ETF(DDFL)와, 규제를 우회해 스테이킹 수익을 분배하는 솔라나 ETF(SSK)가 새롭게 상장되면서 기존 버퍼 ETF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데요. 오늘은 이 두 ETF를 중심으로, 최근 글로벌 ETF 시장 흐름과 국내외 추천 ETF 종목까지 정리해 드립니다.
🔍 듀얼 방향 ETF란?
2025년 7월 1일에 상장한 Innovator Equity Dual Directional 15 Buffer ETF(DDFL)는 기존의 버퍼 ETF와 달리, 일부 하락 구간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됐습니다.
-
구조 요약
-
상방 수익 제한: +8.79%
-
하방 손실 방어: -15%까지 수익 가능
-
기반 자산: SPY ETF
-
기존 버퍼 ETF보다 상방은 낮지만 하락장에 더 강한 구조
-
이 ETF는 풋옵션을 매수하고, 콜옵션의 행사가격을 더 낮추는 방식으로 구성되어, 시장이 일부 하락할 때도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.
🪙 솔라나 + 스테이킹 ETF(SSK) 등장
7월 2일에는 또 하나의 이슈 상품이 상장됐습니다. 바로 REX-Osprey SOL + Staking ETF(SSK)인데요. 그동안 증권성 문제로 인해 ETF 내에서 스테이킹 수익을 분배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, 이번 ETF는 C-Corporation 구조로 등록하면서 이 규제를 피해갔습니다.
-
포인트 정리
-
솔라나(SOL) 보유 + 스테이킹 보상 수령
-
매월 분배되는 구조
-
법인세 + 배당소득세 이중 과세 가능성 존재
-
업비트 기준, 최근 연 스테이킹 수익률 약 6.8% 내외
-
비트코인 중심의 디지털 자산 ETF 시장에서 이제는 알트코인 기반의 구조화 상품까지 등장하며 상품 다양성이 크게 확장되고 있습니다.
📊 글로벌 ETF 시장 자금 흐름 요약
미국 시장 (6월 30일 ~ 7월 3일 기준)
-
주식형 ETF: +177억 달러
-
테크/금융 섹터 중심 유입
-
-
채권형 ETF: +110억 달러
-
특히 단기국채 ETF 중심 유입
-
-
금 ETF: 자금 유출세 전환
국내 시장
-
주식형 ETF: +2.5억 달러
-
AI 전력, 고배당, 지주회사, 증권 섹터에 집중 유입
-
-
KOSPI200 ETF: 자금 유출
🧭 추천 ETF 리스트 (국내/해외)
한화투자증권은 총 8종의 ETF를 추천하고 있으며, 포트폴리오 구성 비중은 주식 80%, 채권 20%입니다.
국내 추천 ETF
티커 | 종목명 | 투자포인트 |
---|---|---|
273130 | KODEX 종합채권(AA-이상)액티브 | 연준 금리 인하 수혜, 안정적 채권 |
463050 |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| 라이선스 딜 증가에 따른 기대감 |
449450 | PLUS K방산 | 방산 업황 호조, 강한 실적 |
365000 | TIGER 인터넷TOP10 | AI 기반 매출 확대 기대 |
해외 추천 ETF
티커 | 종목명 | 투자포인트 |
---|---|---|
TLT | iShares 20+ Year Treasury Bond | 듀레이션 확대 기대 |
JEPI |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| 매월 배당, 보합장에 적합 |
IWM | iShares Russell 2000 | 트럼프 수혜 기대, 스프레드 축소 |
381170 | TIGER 미국테크 TOP10 INDXX | 빅테크 중심의 안정적 성장 전망 |
📈 인기 ETF 수익률 & 자금 유입 순위
ETF 이름 | 1주 수익률 | 1년 수익률 | 자금 유입 |
---|---|---|---|
IVV (S&P500) | +2.2% | +14.9% | +$3.1B |
VTI (미국 전체시장) | +2.3% | +15.3% | +$2.0B |
IWM (러셀2000) | +3.6% | +11.8% | +$1.3B |
JEPI (커버드콜 전략) | +0.8% | -0.1% | +$132M |
반면 QQQ, TLT, GLD 등 기존 대형 ETF에서는 자금이 일부 유출되며 섹터 리밸런싱이 진행 중인 모습입니다.
✅ 총평: 전략 다변화 시대의 ETF 투자법
2025년 하반기 ETF 시장은 단순 인덱스를 넘어 옵션 전략, 스테이킹, 테마형 투자 등 다양한 전략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. 특히 변동성 장세에서 하락 방어력과 수익 가능성을 동시에 갖춘 ETF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.
핵심 키워드 요약:
-
듀얼 방향 ETF
-
솔라나 스테이킹 ETF
-
금리 인하 → 채권형 ETF 유입
-
테크·방산·AI 섹터 강세
-
JEPI 등 커버드콜 전략 ETF 관심 증가
📌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분석 자료이며,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. 투자에 대한 최종 판단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