9월 2주차 수익률 상위 TOP5 — 반도체 레버리지 싹쓸이
이번 주 상위 5개가 모두 반도체 레버리지/ETN으로 집계됐습니다. 아래 표에서 주간 성과와 핵심 지표를 한 번에 비교하고, 왜 반도체가 강한지(AI CAPEX↑·HBM3E 수급 타이트·재고 정상화)를 근거로 설명합니다. 레버리지는 일일복리·괴리율에 민감하니 분할·손절 기준을 미리 정하세요.

목차
이번 주 결론 한눈에
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 +27.19%
Top5 평균 수익률 +25.17%
+24.41% (3위)
- AI CAPEX↑ + HBM3E 수급 타이트 → 가격/믹스 개선 가속
- 재고 정상화 + 온디바이스 AI 교체 수요가 탑재 용량 확대
- 레버리지는 일일복리/괴리율 주의 — 유동성·스프레드 확인
한눈에 보는 TOP5 수익률
순위 | 종목 | 유형 | 주간 수익률 |
---|---|---|---|
1 |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 | ETF | +27.19% |
2 | 키움 레버리지 반도체TOP10 | ETN | +26.88% |
3 | 하나 레버리지 반도체 | ETN | +24.41% |
4 | KODEX 반도체레버리지 | ETF | +24.05% |
5 | TIGER 200IT레버리지 | ETF | +23.32% |
※ ETN은 발행사 신용을 기초로 하며 구조·위험이 ETF와 다릅니다.

결정 지표 비교 (보수·거래대금·괴리율 등)
티커/이름 | 유형 | 총보수(%) | AUM(억원) | 평균 거래대금(억원) | 추종지수 | 추적오차(%) | 스프레드(bps) | 괴리율(%) | 상장일 | LP | 과세 | 공식/팩트시트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488080 ·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 | ETF | 0.49 | 332.3 | 120.4 | FnGuide 반도체TOP10 (일간 2배) | — | — | — | 2024-07-23 | AP 다수 | 국내 | 공식 / 팩트시트 |
760013 · 키움 레버리지 반도체TOP10 | ETN | 0.40 | 325.4 | 5.0 | FnGuide 반도체TOP10 Leverage TR | — | — | — | 2024-08-08 | 발행사 | 국내 | 공식 / — |
700028 · 하나 레버리지 반도체 | ETN | 0.40 | 558.1 | 76.8 | KRX Semicon TR Leverage | — | — | — | 2025-03-12 | 발행사 | 국내 | 공식 / — |
494310 · KODEX 반도체레버리지 | ETF | 0.49 | 1,528.1 | 234.2 | KRX Semicon | — | — | — | 2024-10-22 | 한화투자증권 外 | 국내 | 공식 / 팩트시트 |
243880 · TIGER 200IT레버리지 | ETF | 0.69 | 302.7 | 8.6 | KOSPI 200 정보기술 | — | — | — | 2016-05-13 | AP 다수 | 국내 | 공식 / 팩트시트 |
※ AUM은 각 상품 페이지의 시가총액/순자산 수치를 억원으로 환산해 표기했고, 거래대금은 해당일 기준 수치입니다. 추적오차·스프레드·괴리율은 일중 변동성이 커 신뢰할 수 있는 고정값을 제공하지 않는 상품이 많아 공란으로 두었습니다.
※ 지표가 비어있는 항목은 운용사/발행사 공식 페이지 기준으로 수치 확인 후 채워 넣으세요(상위노출에 유리).
왜 반도체가 오르나? (근거 요약)
① AI/데이터센터 CAPEX 급증 — 하이퍼스케일러의 설비투자 상향으로 GPU·HBM·고대역폭 네트워크 등 AI 인프라 수요가 구조적으로 확대. HBM 채용량 증가가 메모리 업체의 ASP와 마진을 견인하고 장비·소재·패키징 전 밸류체인의 가동률을 끌어올림.
② HBM3E 중심의 믹스 개선 — 일반 DRAM 대비 HBM은 고가·고마진. CoWoS/TSV 등 첨단 패키징 병목으로 단기 증설이 어려워 수급 타이트 → 가격 지지/계약 안정화(장기공급계약 확대).
③ 재고 정상화와 업사이클 초입 — 팬데믹 이후 누적 재고가 정상 구간으로 하향. 신규 발주가 실수요를 반영하며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라인 채움 → 가동률·수익성 동반 개선.
④ 온디바이스 AI·교체 수요 — AI PC·스마트폰 보급으로 DRAM/NAND 탑재 용량 증가. B2C 교체 + B2B 인프라 투자가 동시에 열리며 섹터 지수의 레버리지 탄력이 확대.
⑤ 첨단 패키징 병목의 ‘완충’ — CoWoS, HBM 스택 등 공정 병목이 단기 공급 확대를 제약, 사이클 상단에서의 급락을 완화하여 가격 하방 압력을 줄임.
①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 — 대표 10종목 × 2배
컨셉: 국내 반도체 대표 10종목 지수의 일간 2배 추종. 강점: 지수 기반 분산, 유동성 풍부, 규칙 리밸런싱.
② 키움 레버리지 반도체TOP10 ETN — 지수는 같아도 구조는 ETN
컨셉: 동일 테마를 ETN(발행사 채무증서)로 구현한 일간 2배. 강점: LP 활발·괴리 관리 양호. 신용위험/조기상환 조건 확인 필수.
③ 하나 레버리지 반도체 ETN — 대안 ETN으로 분산
컨셉: 반도체 2배 ETN. 강점: 발행사/LP 전략 차별화, 특정 시간대 체결 강도 우수, ETN 간 분산 용이.
④ KODEX 반도체레버리지 — 메모리 사이클 민감도↑
컨셉: KRX 반도체 지수 2배 추종. 강점: 대형 운용사·거래량 풍부, 스프레드 협소, 일일복리 효과 뚜렷.
⑤ TIGER 200IT레버리지 — 반도체 중심 + IT 전반 확장
컨셉: KOSPI200 IT섹터 2배. 강점: 반도체 급락 시 섹터 분산 완충, 로테이션 포착, IT 업사이클 동조화.

FAQ
ETN은 ETF와 뭐가 다른가요?
레버리지 상품을 일주일 이상 들고가도 되나요?
괴리율/스프레드는 어떻게 확인하나요?
세금은 어떻게 되나요?
리밸런싱/지수 편출입은 영향이 큰가요?
다음 주 보고 싶은 테마를 댓글로 남겨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