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-POP DEMON HUNTERS 수혜주 — 가치사슬로 정리한 직접·간접 수혜 지도

K-POP DEMON HUNTERS 수혜주 — 가치로 정리한 직접·간접 수혜 지도


‘K-POP DEMON HUNTERS’는 2025-06-20 넷플릭스 공개 이후, 사운드트랙과 팬 커뮤니티 확산(싱어롱 상영·머천·브랜드 콜라보)로 파급을 키웠습니다. 음악 쪽은 Republic Records(UMG)가 유통하고, 엔드 크레딧 버전 “Takedown”에 TWICE 멤버 참여가 확인되었습니다. 머천은 Funko·Netflix Shop이 공식 라인업을 열었고, 국내에선 농심의 콜라보 에디션이 발표되었습니다. 이 글은 “콘텐츠→플랫폼→OST→머천/브랜드” 가치사슬을 기준으로 직접/간접 수혜를 보수적으로 구분해 정리합니다.

목차

가치사슬 수혜 지도(요약)

  • 제작/권리 — Sony Pictures Animation 제작, 넷플릭스 공개(후속 의지 관련 발언 존재)
  • 플랫폼 — Netflix: 글로벌 배급, Top10·추천 지표로 확산
  • OST/레이블 — Republic Records(UMG) 사운드트랙 발매, “Takedown”(엔드 크레딧) TWICE 멤버 참여
  • 머천다이즈 — Funko POP!·Netflix Shop 공식 굿즈
  • 브랜드 — 농심: 신라면/스낵 콜라보 에디션
분류 기준
  • 직접: 작품의 공식 크레딧/보도자료로 연결이 확인된 경우
  • 간접: 공식 크레딧은 아니지만 공식 협업/머천·유통으로 연결된 경우
  • 테마: 매출 직접 연계 불확실. 관련성·연상효과 중심

글로벌 직접 수혜 테이블

분류 회사 연결 고리 근거
플랫폼 Netflix 글로벌 단독 공개, 싱어롱 상영·스트리밍 운영 Tudum [Official]
제작 Sony Pictures Sony Pictures Animation 제작, 후속 의지 관련 발언 GamesRadar [Media]
OST(레이블) UMG / Republic Records 사운드트랙 발매·유통 OST 개요 [Media]
IP/소속 JYP Entertainment TWICE 멤버 “Takedown”(엔드 크레딧) 참여 Tudum [Official] · 곡 정보 [Media]
머천 Funko / Netflix Shop 공식 POP!·굿즈 출시 Tudum [Official] · Netflix Shop [Official]
브랜드 농심 신라면/스낵 콜라보 에디션 KED Global [Media] · Forbes [Media]

국내 간접/테마 후보(StockStalker 요약 반영)

※ 아래 표는 국내 테마 흐름 요약입니다. 각 사의 직접 매출 연계가 확인되지 않은 항목은 투자 판단 시 별도 검증이 필요합니다.

구분 종목 연결 논리(요약) 근거/참고
간접(투자고리) 썸에이지 VC 새한벤처펀드14호(더블랙레이블 투자)에 LP로 출자 → TBL 가치 상승 기대 반영 뉴스프라임 [Media] · 서울경제 [Media]
간접(OST 유통) YG PLUS 넷플릭스 한국작품 OST 글로벌 유통 파트너십(2025-07) → K-OST 확산 테마 매경 [Media] · SBS [Media]
테마(K-푸드 파생) 우양·한성기업·풀무원 작품 내 라면/김밥 장면 화제 + 농심 한정판 → K-푸드 연상효과 StockStalker [Media] · KED Global [Media]
테마(국내 애니) 스튜디오미르 직접 참여는 아님. 글로벌 OTT 작업 레퍼런스로 국내 애니 대장주 테마 StockStalker [Media]

핵심 근거 & 바로가기

리스크 & 체크리스트

  • 직접성 검증공식 크레딧/보도자료 확인된 기업만 “직접”, 나머지는 “간접/테마”.
  • 테마 과열 — 식품/애니/OST 유통주는 단기 과열·반납에 취약. 분할·손절 기준 사전 설정.
  • 권리/배분 — OST·IP 수익 배분은 레이블·소속·제작 간 복잡. 분기 실적/IR로 확인.
  • 환율 리스크 — 해외 종목은 USD/EUR 변동을 원화 수익률에 반영.

FAQ

Q1. HYBE/SM/YG는 왜 ‘직접’에 없나요?

현재 공개 크레딧에서 직접 참여가 명시된 대형사는 JYP입니다. 추후 OST/콜라보가 공식 발표되면 재분류합니다.

Q2. YG PLUS의 넷플릭스 OST 유통은 본작과 연계인가요?

넷플릭스 한국작품 대상 유통 파트너십이므로, 본작(해외 애니·Republic 발매)과는 간접 범주입니다.

Q3. 썸에이지는 왜 포함되었나요?

직접 매출 연계가 아니라, LP→VC→더블랙레이블의 간접 투자고리 관점입니다. 구조·회수 시점 민감.

업데이트 로그

  • 2025-09-06 — 국내 테마 섹션 정리, 근거 라벨링 추가, 스냅샷/이벤트 스터디 제외

마무리(한줄평)

핵심은 직접성의 증거입니다. 플랫폼(Netflix), 제작(Sony), OST(UMG·Republic·TWICE), 머천/브랜드(Funko·농심)는 공식 근거가 뚜렷합니다. 국내 종목은 테마/간접으로 보수적으로 접근하고, 발표 업데이트에 따라 분류를 바꾸는 방식이 안전합니다. 본 글은 공개 자료를 교차 확인해 정리했으며, 향후 공식 발표·공시에 따라 내용이 바뀔 수 있습니다.

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. 공개 자료에 기반해 작성되었으며, 추후 공식 발표/공시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